여름철보양식 닭 식중독균이 득실득실?

반응형
반응형

보양식이 필요한 계절, 요즘은 긴 장마의 습도 때문에 더욱 지치게 되는 것 같아요. 이럴 때일수록 건강한 음식은 필수겠죠.

저는 복날에 삼계탕을 먹지 않으면 뭔가 섭섭한 느낌을 받아서 다가오는 복날, 꼭 보양식을 먹어줘야 해요. 그런데 여름철 보양식들이 건강을 해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무심코 한 행동 때문에 건강을 위협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우리는 정말 안전하고 건강하게 먹고 있는 걸까요? 함께 알아볼게요.

(나보다) 꼼꼼하게 보관했는데..

사연자는 혹시라도 생닭의 핏물이 다른 식품에 묻을까봐 비닐 또는 용기에 넣어 청결하게 냉장 분리보관하고 있다는데요. 이 청결한 재료를 충분히 가열까지 했는데 식중독을 피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닭의 식중독의 원인균?

사실 식중독의 원인에는 병원성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비브리오균, 캄필로박터균이 해당하는데요. 그중 캄필로박터균이 냉장이든 냉동이든 장시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

캄필로박터균의 식중독 증상?

위를 지나 소장에서 증식하는 캄필로박터균은 세포를 파괴시키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염증에 의해서 복통, 발열, 근육통, 두통까지 전신 이상 증세가 나타는 건데요. 주로 물이 흡수되는 대장까지 진행하게 되면 대장의 점막들을 파괴시키면서 물이 흡수되지 않아 설사 증세를 유발한다고 합니다.

캄필로박터균은 치명적인 세균은 아니지만 면역력이 낮은 영유아나 노인은 심각한 증세를 보이거나 패혈증과 더불어 뇌수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합니다.

여름철이 더 위험한 이유

특히 여름철에는 온도와 습도가 올라가게 되면서 미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잘 만들어지는데요. 삼복더위를 지낸 우 리나라에서는 초복, 중복, 말복을 거치며 가금류의 섭취가 많아지기 때문에 캄필로박터균에 의한 식중독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흔히 먹는 닭이 오염된다?

식중독균 중에서 특히 집단 감염에 취약하다는 캄필로박터균은 한번 발생했을 때 그 크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한데요.

대부분의 장내 세균은 인간의 체온과 비슷한 37.5도에서 번식을 잘하지만 캄필로박터균은 닭의 체온과 유사한 42도 정도에서 잘 증식을 합니다. 생닭의 생산 공정상 닭들은 밀착된 채로 운반되기 때문에 교차오염의 위험의 가능성이 높은 거죠.

닭의 90%가 캄필로박터균이 발견된다는 보고도 있는데요. 따라서 최종 소비자에게 도달했을 때 캄필로박터균이 검출될 확률이 굉장이 높을 수 있다는 겁니다.

진짜인지 확인! (실험)

시중에서 유통되는 닭을 마트에서 무작위로 골라보았습니다. 과연 여기에도 캄필로박터균이 존재할까요?

결과는 하얗게 변한 부분이 바로 캄필로박터균이라고 합니다.

(반전) 크게 걱정은 안해도 된다?

식중독균인 캄필로박터균에 쉽게 노출되어있지만 우리가 먹는 대부분의 닭요리들은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익혀먹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70도씨 이상 가열했을 시 1분 만에 캄필로박터균이 사멸하기 때문에 열에는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But! 안심은 금물!

그런데 문제는 가정에서 닭 손질 시 물방울이 튈 경우 캄필로박터균이 다른 식재료나 조리기구를 오염시켜 식중독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즉 조리 전 물로 생닭을 깨끗하게 씻는 행동으로 가열없이 먹는 채소가 캄필로박터균에 오염될 수 있는 거죠.

균이 가장 많이 분포한 곳?

공기 중의 산소에서보다는 3~5%정도의 산소에서 잘 사는 캄필로박터균은 공기의 접촉이 적은 닭의 접힌 날개, 겨드랑이, 피부 안쪽, 피하지방 아래에 특히 많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오염된 물이 옮겨질 수 있나?(실험)

닭을 구석구석 물로 세척하다가 캄플로박터균에 오염된 물이 튀면서 오히려 주방 곳곳에 퍼뜨릴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 부엌 전체를 오염시킬 정도로 사실 굉장히 물이 많이, 그리고 멀리 튄다고 합니다.

평소 주부들이 닭을 씻는 것과 같은 환경을 만들어 구석구석 세척해보는 실험을 했습니다. 캄필로박터균이 닭을 씻은 물과 함께 식기나 채소에 정말로 옮겨갈 수 있는 것인지 확인했는데요.

실험 결과 주방에 있던 채소와 식기, 조리도구에서 캄필로박터균이 소량으로 검출되었습니다.

특히 채소류 같은 경우 균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식기에서보다 더 많은 캄필로박트터균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데요. 결국 생닭을 씻는 행위 자체가 오히려 균을 더 퍼트리게 된 셈이죠.

포장된 생닭은 괜찮나?

포장된 생닭은 소독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오히려 세척을 하지 말라고 권고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만약 생닭을 꼭 씻어야 안심이 될 거 같다면 생닭은 조리 단계의 마지막에 세척과 손질을 하고, 생닭을 사용한 칼이나 도마는 다른 식재료들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안전하게 닭을 먹는 방법

캄필로박터균은 냉장 냉동 조건에서도 장기간 생존한다는데요. 닭을 안전하게 먹기 위해서는 닭의 중심온도가 75도씨 이상이 되었을 때 5분 이상 끓인 후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여름에 특히 증가한다는 캄필로박터 식중독. 다가오는 말복엔 더 안전하고 맛있게 즐겨보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