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최저시급 5%인상 월급으로 계산하면 얼마일까?
- 생활정보
- 2022. 12. 6.
2023 최저시급 5% 인상
월급으로 계산하면 얼마일까?
매년 해가 바뀔때마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최저임금 인상률인데요.
매년 오르고 있는 최저임금이 만원을 돌파하는 순간이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2023년 최저시급
정부에서 발표한 2023년 최저시급은 2022년 시급 9160원에서 5% 인상된 9620원입니다.
주 40시간 월209시간으로 환산했을 때 월 2,010,580원입니다. 여기서 4대 보험을 제외한 세후 금액은 1,813,340원입니다.
최저시급 월 200만원을 처음 넘어섰다고 말하지만 임금을 받는 입장에서 세전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세후 내 손에 들어오는 실질적인 금액이 중요하죠.
작년 2022년의 월급은 1,914,440원이고 세후 금액은 1,728,440원이었습니다.
지금의 인상률 추이로 보면 2,3년 안에 세후 금액 200만원이 넘는 시대가 올 것 같긴 합니다.
하지만 그때 가면 물가도 많이 올라있겠죠......
대한민국 평균 연봉
대한민국의 평균연봉은 4300만 원입니다. 월급으로 계산하면 310만 원 정도 나옵니다.
연봉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여성보단 남성의 연봉이 높고, 40대 중반쯤 연봉이 제일 높고 그 이후 조금씩 떨어지는 게 보입니다.
사회 초년생인 20대의 연봉은 평균 2,877만원 입니다. 세후 금액은 월 2,151,590원입니다.
이제 직장에서 어느 정도의 자리를 잡는 시기인 30대의 평균연봉은 4,605만 원입니다. 세후 금액은 월 3,303,030원입니다.
직장에서 능력을 인정받는 시기인 40대의 평균 연봉은 5,112만 원입니다. 세후 금액은 월 3,616,590입니다.
50대는 4,775만 원 60대는 3,123만 원의 평균 연봉을 보여줍니다.
40대에 연봉의 정점을 찍고 그 이후 연봉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물가상승률 못 따라가는 최저시급 인상률
직장에 다니다 보면 이런 말을 많이 하는 것 같아요 '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
요즘 같을 때는 정말 실감이 되는 말인 것 같습니다. 그동안은 뉴스를 통해 물가가 많이 올랐다 하는 말을 들어도 실감을 잘 못했는데요. 요즘에는 카페를 가던 장을 보러 마트를 가던 외식을 하던 정말 높아진 물가를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의류, 신발 등 공산품들도 10년 만에 최대치의 상승률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 따른 원재료 상승이 원인이라고 하는데요.
코로나가 종식되고 공급이 원활해진다고 올렸던 가격을 내려서 팔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증시는 끝없이 추락하고 부동산은 계속 오르고 물가도 계속해서 오르고 정말 힘든 상황이지만, 이 상황이 지나면 경제가 회복되는 시기가 분명히 오겠죠.. 그날을 기다리며 하루하루 버텨 봐야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 시는 모든 분들도 파이팅 하시길 바랍니다! 다 잘될 거예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차량관리 방법 ( + 공기압 보험서비스 / 배터리 점검 ) (0) | 2022.12.12 |
---|---|
전국 해돋이 명소 TOP 5 ( 호텔 펜션 안에서 일출보자! ) (0) | 2022.12.08 |
통신비 절약의 필수 알뜰요금제 추천! (0) | 2022.12.05 |
가슴이 타오르는 증상 식도염/ 식도염예방법과 식도염에 좋은 음식추천 (0) | 2022.09.05 |
전국 애견동반 펜션 / 애견펜션/ 반려동물 펜션 (1) | 2021.05.17 |